子貢 曰
貧 而 無 諂 하며 富 而 無 驕 가 何如 어떠합니까 ?
子 曰
可 也 나 未 若 貧 而 樂 하며 富 而 好 禮 者 也 니라.
子貢 曰
詩 云, 如 切 如 磋 하며 如 琢 如 磨 라하니,
其 斯 之 謂 與 인저 ?
子 曰
賜 也 는 始 可 與 言 詩 已 矣 로다. 告 諸 往 而 知 來 者 은여 !
자공이 말하였다.
가난해도 아첨하지 않고 부유 하면서도 교만하지 않으면 어떻겠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괜찮기는 하나 가난 하면서도 樂 道하고 부유하면서도 好 禮함 만은 못하다.
자공이 아뢰었다.
詩經에 이르기를 "깍고 다듬은 듯 하고, 쪼고 갈은 듯" 하다 고
한 것은 바로 이것을 뜻하는 것이군요?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賜) 야 ! 비로소 너와 詩經을 論 할 수 되었구나 !
이미 지나간것을 일러주니 옴을 아는 사람이로다.
未 若(미약) : 같지 못하다. ....만은 못하다.
如 切 如 磋 (여절여차) : 뼈나 뿔을 조각 할때 깍은 듯하고 줄로 썬듯하다.
如 琢 如 磨(여탁여마) : 정으로 쪼은 듯 하고 갈아서 다듬은 듯 하다.
其 斯 之 謂 與( 기사지위여) : 그것은 이것을 뜻하는 것이군요. 與 (의문조사)
賜(사) 자공의 이름
諸(저) : 之於가 합쳐진 것과 음이나 뜻이 같은 어조사.
何如( 하여) : 상황이나 정황에 대한 의문을 나타낸다. (어떠하냐)로 새긴다.
如何(여하) : 수단이나 방법에 대한 의문을 나타낸다. (어찌 하느냐)로 새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