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님의 글방

한국 근대 작가론

by 嘉 山 2020. 6. 20.

1.작가의 개념은 근대에 와서 많은 변화를 겪는다. 그 중 롤랑바르트가 말한 ‘작가의 죽음’을 작가의 개념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하시오

= 전통적 의미의 작가는 저작물을 작성한 글쓴이로서 독자적인 예술적 요구를 가지고 통일적 문학 작품을 생산해 낸 주체, 텍스트 해석의 절대적 권위를 가진 존재를 말한다.

이후 20세기 후반 형식주의자와 구조주의자들은 실제 작가는 작품 해석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하였고 작품 안에서 작가를 대신하는 것들을 찾아내어 작품 해석의 근거로 삼았다. 즉, 작품 외부에 있는 실제 작가와 구별하여 이상적이고 문학적으로 창조한 또 다른 모습의 작가라고 부름으로써 이를 내포작가라고 불렀다. 이러한 이론은 탈구조주의 시대에 더 세련되게 변화되었는데 롤랑바르트의 죽음의 선언에서는 작가는 작품 외부에 있는 해석의 원천이 아니며 텍스트 내부에 있는 존재로서 전통적 의미에서의 작가와 텍스트를 읽어가면서 상상하고 이해하는 정신적 가치로서의 작가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작가는 텍스트의 소유자가 아닌 소유물이며 허구적인 인물과 쉽게 식별할 수 없는 존재로 텍스트를 통해 읽어내는 독특한 의식으로 규정하였다.

 

2. 작가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오독의 경우는 대부분 작품보다 작가에 비중을 두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의도적 오류와 전기적 오류로 나누어 각각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의도적 오류는 작품 분석 시 작가의 의도를 작품의 의미나 가치와 동일시 하는 행위이다. 작가의 본래의 의도와 작품에서 성취된 의도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데 예를 들면 작가가 작고한 경우에는 작가의 의도를 확인 할 수 없으며 의도를 남겨놓더라도 작품 자체가 갖고 있는 뜻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작가들은 작품 의미에 대해 명백한 발언을 꺼려하고 자기도 작품이 완성되기까지 작품의 완전한 뜻이 무엇인지 알지 못했다 고백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김동리 작가는 비평가이며 문단 내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며 자기 작품에 대한 많은 주석을 달고 의도를 밝혔는데 이는 작품 해석에 일정한 영향을 주고 그것이 단순 반복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작품 분석에서 의도의 오류를 경계해야 할 필요성을 잘 말해주는 예이다.

전기적 오류는 작품 내용과 작가의 전기적 사실을 동일시 하려는 행위를 말한다. 즉, 작품에서 작가의 생애를 그대로 읽어내려는 시도에서 생기는 오류이다. 모든 체험은 작품으로 형상화될 때 변형과 굴절의 과정을 거치고 작가는 자신의 체험세계를 그대로 기록하지 않고 적절한 허구성을 가미한다. 자전적 소설에서 이러한 오류를 자주 보이는데 예를 들어 이광수의 [무정]이라는 소설은 주인공이 본인과 유사하다는 설정에서 자전적 특성이 거론되어졌으나 작가는 자신의 실생활과는 다르다고 이야기 하였다.

 

3. 한국 근대사의 작가의 체험을 살펴볼 때 친일 문제가 왜 고려해야할 상황인지 설명하시오

일제강점기 시기에는 검열이 강화되고 창씨 개명제도를 실시하고 사상범 예비 구속령을 발동하였으며 조선어 말살 정책 시행으로 자유로운 창작이나 우리글 작품 발표가 어려웠다. 모든 사람들이 일제에 협력한 것은 아니었으나 각종 문예상을 제정하고 일어로 쓴 작품에 상을 주어 정책 시행의 가속화를 촉진하였다. 이로 인해 친일 작가들이 나오게 되었다.

 

4. 작가 연구 과정에 있어 작가의 작품이나 기타 자료의 수집 및 정리는 필수적이다. 이때 수집한 자료를 1차 자료, 2차 자료, 3차 자료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구분 기준과 특징을 각각 설명하시오

= 1차 자료는 작가가 쓴 모든 작품의 원전 혹은 최선본을 말한다. 작품의 맨 처음 형태, 원형을 찾는 것으로 프레스든 바우어즈는 한 작가의 텍스트 본래의 순수성을 회복하고 판을 거듭함에 따라 생기는 와전으로부터 순수성을 보존하는 것이 원전 비평의 목표라고 하였다.

2차 자료는 작가가 남긴 각종 기록과 작품으로 작가가 남긴 수필, 자서전, 일기, 편지, 자작해설, 연설문, 대담, 비평문 등을 말한다. 서문과 발문은 작가의 감회, 출판동기, 책의 구성 등 작가의 생각을 읽을 수 있고 일기나 편지는 작가의 심리적 현상을 파악하고 작가의 문학경향, 문학 사상을 탐색할 단서가 된다. 자기 작품에 대한 자작해설이나 메모는 작품의 발표연대, 작품 세계의 변모와 창작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3차 자료는 작가에 대한 타인들의 증언, 비평, 전기, 작품에 대한 비평, 연구물 등을 말하고 주변 인무의 대상 작가에 대한 시각차로 왜곡된 정보를 남길 수 있기 때문에 객관적 태도 유지가 필요하다.

 

5. 작가를 연구 할 때 작가의 성별로 인한 특성이 필수적인 고려사항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를 쓰시오

= 여성의 작품 가운데에서는 남성적 질서 혹은 남성적 언어에 의해 주변화 되고 열등하고 억압된 흔적들이 나타난다. 또한 여성의 정체성, 여성 작가로서의 체험, 성적 자각, 사회와 문단의 어성 작가에 대한 대우 등 많은 것이 작가의 창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성별로 인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님의 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가의 분류  (0) 2020.06.22
향 가  (0) 2020.06.21
저승사자가 데려 갈 뻔 한 아버지  (0) 2020.06.19
애증의 커플  (0) 2020.06.18
<비극의 비밀>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166쪽에서부터 212쪽까지)  (0) 2020.06.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