仲 尼 曰 (중니 왈) 君子(군자)는 中庸(중용)이요
〓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중용대로하고
小人(소인)은 反中庸(반중용)이니라.
〓 소인은 중용에 반대되게 하느니라.
中庸者(중용자)는 不偏不倚(불편불의)하며
無過不及而平常之理(불과불급이 평상지리)니,
중용이라는 것은 치우치지 않고 기울지 않으며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함이 없는 평상의 이치니,
乃天命所當然(내천명소당연)이며 精微之極致也(정미지극치야)라.
곧 하늘이 명령한 당연한 것이며 정밀하고 미세함의 극치이다.
唯君子(유 군자)아 爲能體之( 위능체지)요,
오직 군자만이 몸소 실행할 수 있고,
(唯 와 惟 는 통용해서 오직으로 쓴다.)
小人(소인)은 反是(반시)니라.
소인은 이것과 반대로한다.
論語 泰伯篇
曾子 曰(증자 왈)
士不可以不弘䝘(사불가이불홍의)니 任重而道遠(임중이도원)이니라
증자왈 선비는 마음이 넓고 뜻이 굳세어야 할것이니
그 책임은 무겁고 길은 멀기 때문이다.
仁以爲己任(인이위기임)이니 不亦重乎(불역중호)아
死而後已(사이후이)니 不亦遠乎(불역원호)아
군자는 어짐으로서 자기의 책임을 삼으니 책임이 무겁지 않은가
죽은 뒤에야 끝나니 책임이 멀지 않은가
䝘 (굳셀의)
君子之中庸也(군자지중용야)는
君子而時中(군자이시중)이요
군자가 중용대로 행함은 군자이면서
때에맞게 중을 행하는것이고
小人之中庸也(소인지중용야)는
小人而無忌憚也(소인이무기탄야)니라
소인이 중용과 반대되게 함은
소인이면서 꺼리고 두려워함이 없이 하는것이다.
忌(꺼릴기) 憚(꺼릴단)
無忌憚(무기탄) 염치나 체면도 돌보지않고 거리낌 없이 행동하는것.
中 → 天 下 之 正 道
庸 → 天 下 定 理
王肅本(왕숙본)에 作小人之反中庸也(작소인지반중용야)하고
程子(정자) 亦以爲然(역이위연)이라하시니 今從之(금종지)하노라.
왕숙의 책에는 小人之反中庸也로 되어있고 정자께서
또한 옳다고 하시니 지금 따른다.
君子之所以爲中庸者(군자지소이위중용자 )는
以其有君子之德 而又能隨時以處中也(이기유군자지덕 이우능수시이처중야)
小人之所以泮中庸者(소인지소이반중용자)는
以其有小人之心 而又無所忌憚也(이기유소인지심 이우무소기탄야)라.
군자가 중용대로 실행하는 까닭은 군자의 덕이있고
또 때에따라 중으로서 처신할 수 있기 때문이고
소인이 중용과 반대되게 하는 까닭은
소인은 마음이 있으면서 또한 꺼리고 두려워함이 없기 때문이다.
蓋中無定體(개중무정체)하야 隨時而在(수시이재)하니
是乃平常之理也(시내평상지리야)라.
일반적으로 中은 일정한 몸체가 없어서 때에따라 있으니
이것이 바로 평상의 이치다.
君子(군자)는 知其在我(지기재아라)라 故(고)로
能戒謹不睹(능계근불도)하며 恐懼不聞(공구불문)하야
而無時不中(이무시부중)이요
小人(소인은)은 不知有此(부지유차)하니 則肆欲妄行(즉사용망행)하야
而無所忌憚也(이무소기탄야)니라.
군자는 그것이(天賦之性) 나에게 있음을 알기 때문에
능히 보지 못하는데를 경계(警戒)하고 삼가며
듣지 못하는 데를 두려워(恐懼)해서 中을 지키지 않은때가 없고(時中)
소인은 이것(理性)이 있는것을 모르기 때문에
곧 欲心이 방자하고 망령되이 행동해서
꺼리고 두려워하는 것이 없는 것이다.
肆欲妄行 : 방자한 욕심 망령되이 행한다.
肆 : 방자할사
右는 第二章이라
此下十章은 皆論中庸하야 以釋首章之義하니 文雖不屬이나
而意實相承也라.
變化言庸者는 遊氏 曰 以性情言之면 則曰中和요 以德行言之면
則曰中庸이라하니 是也라.
然이나 中庸之中은 實兼中和之義하니라.
이 아래로 열개의 장은 모두 중용을 논해서 첫머리의 장의 뜻을
풀이한 것이니 글은 비록 연속되어 있지 않으나 뜻은 실상으로
이어진 것이다.
中和의 和를 庸자로 변경하여 中庸이라고 한것은 유씨가 말하기를
성품과 정으로서 말하면 中和라고 말하고 德과 行實로서 말하면
中庸이라고 한다고 했으니 옳은 말이다
그러나 中庸의 中은 실상 中과 和의 뜻을 兼한 것이다.
自身에게 하늘이 賦與한 天賦之性이 있음을 銘心하고
反省과 修養을 通해서 理性을 간직하여
時中의 道를 行해야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