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 용

第 一 章

by 嘉 山 2014. 6. 3.

 

  

     天 命 之 謂 性(천명지위성) 이요,

      〓 天 賦 之 性 ( 천부지성 )인간의 

         육신은  부모에게서  받으나 

         (성품)은  하늘로부터  타고난다.



  

   率 性 之 謂 道(솔성지위도)요,

    〓  우리의  마음속에  내재한  성품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도(道)라 이르고


 

   修 道 之 謂敎(수도지위교)니라.

    〓 不善으로  가지않고  性善으로  갈수있도록 

        修道하고  敎育하는 것이  敎이다.

 

 

  


  命은 猶令也요

   (명은 유영야요)

   명령(命)이라는 것은 영(令)과 같고

 

   命은 如分付命令也一般이라

   (명은 여분부명령야일반이라)

   명령(命)은  상대에게 분부하고 명령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性은 卽理也니

   (성은 즉이야니)

   성품은 곧 이치니

 

   天以陰陽五行으로  化生萬物에 

   氣以成形而理亦賦焉하니  猶命令也요.

   於是에  人物之生이  因各得其所賦之理하야 

   以爲健順五常之德하니  所謂性也라.

    (천이 음양오행으로 화생만물에

     기이성형이이역부언하니 유명령야요.

     어시에 인물지생이 인각득기소부지이하야 

     이위건순오상지덕하니 소위성야라.)

 

     하늘이 음양오행으로 만물을 만들어 낼때.

     기운(氣)형체를 이루고 이치를 떠 부여하니 명령을 함과 같고,

     이렇게 되어 사람과 물건의 생겨남이

     각기 그 부여한 이치를 얻음에 따라

     굳건하고 유순한 오상의 덕으로 삼으니,

     이것이 이른바 성품이다.

 

   健順                      健            |            順

   五行                  木     火       土        金    水

   五常                  仁     禮       信        義    智

 

   仁   惻隱之心  : 불쌍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

   義   羞惡之心  : 不義의 所行에 대한 수치와 증오감을 가지는 마음.

   禮   辭讓之心  : (恭敬之心) 물러나서 다른 사람에게 양보하는 마음.

   智   是非之心  ; 옳고 그름을 가려내는 마음

 

   率은  循也요

   (솔은  순야요)

   率자의 뜻은 따라감이고,

 

 

   道는  猶路니,

    (도는  유로니)

    도는 길과 같은 것이니

 

 

   人物이  各循其性之自然이면,  卽其日用事物之間에

   莫不各有當行之路하니  是卽所謂道也라.

   (인물이  각순기성자연이면,  즉기일용사물지간에

   막불각유당행지로하니  시즉소위도야라.)

 

   사람과 물건이 각기 그 성품의 자연스러움을 따르면,

   곧 날마다 쓰는 일과 물건들 사이에서 각각 마땅히

   가야할 길이 없는것이 없으니, 이것이 이른바 도이다.

 

   修는    品節之也니

    ( 수는 품절지야니 )

   수자의   뜻은  차등을  두어   절차를   매김이니

 

 

   性道雖同이나   而氣稟이   或異라  

   故로   不能無過不及之差일새,

   聖人이    因人物之所當行者而品節之하야  

   以爲法於天下   하시니   卽謂之敎요,

   若禮樂刑政之屬이   是也라.

   ( 성도수동이나  이기품이  혹이라  

    고로  불능무과불급지차일새,

    성인이   인인물지소당행자이품절지하야 

    이위법어천하   하시니   즉위지교요,

   약례락형정지속이   시야)라.

 

 

   성품(性)과   도(道)가   비록   같으나   타고난   기운이   혹  다르기   때문에,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하는   어긋남이   없을   수가   없다.

   그래서   성인이   사람들과   물건들이   마땅히   가야할   길을  

   차등을   두어   절차를   매겨서   천하에    법을   삼으셨으니,

   이것이   곧   가르침(敎)이라    이르는   것이고,

   예(禮)와   음악(樂)    형벌(刑)과   정(政)사와   같은   부류가   이것이다.




     道也者(도야자)는   不可須臾離也(불가수유리야)니

    

     도는  잠시도  떠나  있을 수 없다.


 

     可離(가리)   非道也(비도야).

    

      떠나면  도가  아니다.


 

   是故(시고)   君子(군자)   


  戒愼乎其所不睹(계신호기소부도)하며,

    

    이런고로   군자는   그  보이지  않는  바에서  삼가하고  경계하며


 

     恐懼乎其所不聞(공구호기소불문)이니라.


      그  듣지  못한 바에도  두려워하고   두려워 해야한다. 



    莫見乎隱(막현호은) 莫見乎微(막현호미)

   故君子(고군자) 愼其獨也(신기독야)니라.


    숨겨진  것보다  더  잘드러나는  것은  없으며 

    작은것보다  더  잘  드러  나는 것은 없다.

    그러므로   군자는  혼자  있을  때  삼가하는 것이다.

    (見의  音은  現이라 - 見자의  음은  현이라  읽는다. 見 드러날현  // 顯 나타날현)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희노애락지미발  위지중)이요

  

     기쁘고 성내고 슬프고 즐거움이  일어나지  않는것으을 이라 이르고 


   

   發而皆中節(발이개중절)을      謂之和 (위지화)니

   일어나서  모두  절도에  맞는것을  라고  이르니



   中和者(중화자)  天下之 大本也(천하지 대본야)

  

   中이라는것은     천하의    큰근본이요



   和也者(화야자)   天下之達道也 (천하지달도야)니라


    和라는것은   천하에  통하는  道다.




   致中和(치중화)    天之位焉(천지위언)하며 

  萬物(만물)   育焉(육언)이니라.


   중과  화를  지극히  이루면  하늘과  땅이  제자리를  잡고 

   만물이   제대로  길러것이다.









  子曰  朝聞道(조문도)면   夕死(석사)라도  可矣(가의)니라

       아침에  도를  들은면   저녁에  죽어도  가한  일이다.


  吾道  一以貫之( 오도  일이관지 )니라

        나의  도는   조금도  불선으로  흐르지  않았다.

 

   子曰  君子는 求諸己(구제기) 

   小人은  求諸人(구저이)이니라.

       군자는  잘못이  있으면  자기에게서   찾고

       소인은  잘못이  있으면  남에게서  찾는다.



   十而五   志于學(지우학) 하고


   三十而  立(입)하고


   四十而   不惑(불혹)이라.

    迷惑하지  아니한다는  나이


   五十而   知天命(지천명)

   나이  오십에  드디어  天命을  알게된다는  나이


   六十而   耳順(이순)

    天地萬物의  理致를  通達하게되고   듣는데로  모두  理解하게된다.


   七十而  從心所欲  不踰矩(종심소욕 불유구)이라.

    칠십에는  마음이  하고자하는  바를   따라도  法度를  넘지  아니한다.




 

 

 



'중 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 六 章  (0) 2016.08.11
第 四 章  (0) 2016.07.25
第 三 章  (0) 2016.07.16
第 二 章  (0) 2016.07.11
中庸集註 章句大全  (0) 2009.03.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