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이야기

논어명언 1

by 嘉 山 2015. 5. 15.

 

 

1. 닭을 잡는 데 어째 소를 잡는 큰 칼을 쓸 필요가 있겠는가. 일의 대소,

   나라의 대소에 따라서 처리하는 인재도 적당하고 부적당한 자가 있다.


 

2. 덕이 있는 자는 반드시 훌륭한 말을 한다. 그러나 입으로 훌륭한 말을 하는 자가

    반드시 덕이 있는 자는 아니다.


 

3. 덕(德)이 있으면 사람은 결코 외롭지 않는 법이다. 반드시 공명하는 자가 나타나는 것이다.

   만일 외롭더라도 그것은 일시적인 것이다. 

 

4. 도(道)가 없는 나라에서 부하고 귀하게 되는 것은 사람으로서 수치스러운 일이다.


 

5. 도(道)가 행해지고 있는 사회라면 나와서 활동하겠지만 도가 없는 사회라면

   오히려 숨어서 사는 것만 못하다.


 

6. 도리에 맞는 말을 한다면 혹은 군자를 속일 수는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도리에 벗어난 것으로 군자를 속일 수는 없을 것이다.


 

7. 도리에 어긋나는 약속은 해서 안 된다. 그것은 이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자(有子)가 한 말. 

 

8.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가르침을 들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을 입에서 낼 때에는 참으로 납득한 것만으로 하고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것은 입 밖으로 내는 것을 삼가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비난을 적게 받게 되는 것이다.


 

9. 가난하게 되면 세상을 원망하고 다른 사람을 탓하기 쉽다.

   가난한 경우에 있더라도 원망하지 않기는 어려운 일이다.

   그것은 부자가 되어서 교만을 억제하기 보다 더 어려운 일이다.


 

10. 가난한 자는 비굴하게 되기 쉽고 부자는 교만하기 쉽다.

     가난해도 그 생을 즐기고 부자라도 예(禮),

     즉 사람이 해야 할 도리를 존중해야 할 것이다.


 

11. 가령 반반한 판자를 굽은 판자 위에다 두게 되면 아래에 있는

    굽은 판자도 반반하게 된다. 사람도 이와 같아서

    바른 자를 위에다 앉히면 백성이건 부하이건

    스스로 바르게 되어 심복하게 될 것이다.

 

 

12. 가령 아침에 진실한 사람으로서의 도리(道理)를 듣고 이것을 체득했다면

     저녁에 죽는다 하여도 조금도 후회하지 아니할 것이다. 인간의 삶의 태도,

     살아가는 길을 아는 것이란 이처럼 중대한 것이다. 

 

13. 거친 음식을 먹고 물을 마시고 팔베개를 하고 살아도 즐거움은 그 속에 있는 것이다.

     의롭지 않은 돈 많고 높은 벼슬 같은 것은 뜬 구름 같이 내게는 아무 상관없는 일이다.

 

 

14. 겨울이 되어 날씨가 추워진 연후에라야 비로소 소나무와 전나무가 얼마나 푸르른가를

     알 수가 있다. 사람도 큰 일을 당한 때에라야 그 진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15. 계씨(季氏, 노나라의 大夫)는 지금 전유(전臾, 노나라의 속국)를 치지 않으면

     나라가 위태롭다고 말하지만, 실은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것은 나라 밖에 있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계씨 몸 가까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즉 화근은 내 몸 가까이에 있는 것이라는 말.


 

16. 고(고, 제례에 쓰는 모서리가 난 그릇)에 모서리가 없으면 고라고 하겠는가.

     어찌 고라고 하겠는가. 모서리가 나지 않은 그릇을 고라고 한다면 실물과 이름이

     부합되지 않는다. 이처럼 임금이 임금의 도리를 잃고서도 임금이라 한다든지 신하가

     신하된 직분을 다하지 않고 신하라 할 수는 없는 것이다.

 

 

17. 곡식에는 싹이 트고서도 이삭을 내지 못하고 꽃을 피워 내지 못하는 것도 있고,

     모처럼 이삭을 내고 꽃이 피어도 열매를 맺지 못하고 끝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열 살에 신동이라 불리우던 사람도 삼십 세에 범인으로 끝나는 자도 있다.


 

18. 공자가 조정에서 퇴궐하여 돌아오니 집의 마구간이 불에 타 있었다.

     공자는 사람이 상하지 않았는가 만을 묻고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19. 공자가 하지 않은 일이 네 가지 있었다. 무슨 일이든 확실하지 않는데도

     지레짐작으로 단정을 내리는 의(意), 자기 언행에 있어 반드시

     틀림없다고 단정내리는 필(必),  자기의 의견만 옳다고 고집하는 고(固),

     매사를 자기만을 위한 이기적인 아(我)이다.

 

20. 공자는 낚시로는 물고기를 잡으셨으나 그물은 쓰지 않았고,

     주살로서 새집에서 자는 새는 쏘아 잡지 않으셨다. 공자의 제자가 한 말. 

 

21. 공자는 덕으로 천하를 다스린 순(舜)임금을 찬양한 음악 소(韶)를 배우기를 석 달.

     그 아름다움에 취해서 음식의 맛을 잊을 정도로 도취해 있었다. 공자의 제자들이 한 말.


 

22. 공자는 조정에 있을 적에는 주장할 것은 명쾌하게 주장했다.

     그러나 그럴 경우에도 조심하는 태도는 늘 잊지 않으셨다. 공자(孔子)의 제자가 한 말.


 

23. 공자는 하대부(下大夫)와 말씀하실 때에는 웃는 모양으로 화락하시었고

     상대부(上大夫)와 말씀하실 때에는 도리를 세워 옳고 그름을 확실하게 논했다.

     공자의 제자가 한 말.

 

 

24. 과거의 일을 충분히 소화하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미래에 대한 새로운 사고 방법을

     도출해 내야 하는 것이다. 온고지신(溫故知新).

 

 

25.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모자라는 것과 마찬가지다.

     자장(子張)과 자하(子夏)를 평한 공자의 말.

 

 

26. 교언(巧言)이나 영색(令色), 이 모두가 반드시 비난할 일은 아니다.

     그러나 입으로 아름다운 말을 하고 용모나 태도를 부드럽게 하고

     아름답게 보이는 것이 주가 된다면 인간의 근본이 되는

     인(仁)의 마음이 적게 되는 것이다.


 

27. 국민의 수가 적거나 물질이 적다고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보다는 모두가 불평등하다 부당하다고 하는 불만을 지니는 것을 걱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치는 공평해야 하는 것이다.


 

28. 권력, 부귀, 학문, 예술 등 명성을 얻을 수 있는 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참된 사람은 인(仁)을 행하는 이외의 것으로 명성을 얻으려고 생각하지 않는다.


 

29. 귀신은 공경스럽게 다루되 그것들을 멀리한다면 그것은 지혜롭다고 말할 수 있다.

     귀신이라 함은 죽은 조상을 말하는 것으로, 조상의 신은 공경하여 받들되

     죽은 조상을 중심으로 하지 말고 산 사람을 중심으로 모든 일을 처리해 나가는 것이

     지혜롭다는 것이다


 

30. 국민의 앞장을 서서 국민을 위해 힘껏 노력한다. 이것이 위정자의 마음가짐이다.


 

31. 군자가 가까운 이들에게 후하게 대해 주면 그 덕에 강되어 백성들 사이에

     인자한 기풍이 일어난다.


 

32. 군자는 남과 화합은 하지만 뇌동(雷同)은 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과 진실되게 화합은 할지언정 비리에 뇌동부화(雷同附和)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33. 군자는 늠름하고 우연하며 교만하지 않는 법이다.


 

34. 군자는 도(道)를 어떻게 행할까에 마음을 쓰고 도모할지언정 생활비를 어떻게 얻을까

     하는 일에는 마음쓰지 않는 것이다.

    도(道)의 수양에 마음을 쓰고 걱정은 할지언정 가난한 것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 것이다.


 

35. 군자는 말은 느리고 능숙하지 못해도 실행은 민첩해야 한다.


 

36. 군자는 모든 일을 자기에게서 구하고 자기의 책임으로 돌린다. 소인은 모든 일을

     다른 사람에게 그 책임을 떠넘긴다.


 

37. 군자는 세 가지의 두려운 것이 있다.

     첫째는 천명(天命)이고 그 다음은 대인(大人)이고 셋째는 성인(聖人)의 말씀이다.

     천명은 하늘에서 점지해 준 도덕적인 사명을 말하고

     대인은 현덕을 갖추고 경험을 쌓고 나이가 든 사람이고

     성인의 말씀은 도덕의 가르침을 말한다.  

     이 세 가지를 두려워하여 어긋남이 없이 존중하고 습복해야 한다.

 

 

38. 군자는 어떤 경우를 당하더라도 마음이 너그럽고 평탄하고 소인은 항상 근심에 차 있다. 

 

39. 군자는 의(義)를 가장 귀하게 여긴다.

     바른 의리를 근본으로 하여 그 의(義)를 행함에 있어서 존비친소(尊卑親疎)를 생각해서

     예(禮)로써 대하고 겸손한 태도로써 말하고 항상 거짓 없는 신으로써

     완수하는 것이 참된 군자의 도리다.


 

40. 군자는 자기가 말한 것이 지나친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실행하지 않는 말을 삼가고 말 이상으로 실천하도록 힘쓴다.


 

41. 군자는 자기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은 다른 사람에게 시키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42. 군자는 자기의 처지에 충실함과 동시에 남의 영역을 침범해서 쓸데없이 간섭하거나

     말참견을 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증자가 한 말.

 

 

43. 군자는 현자(賢者)에 대해서는 존경으로 대하고 일반 사람에게는 그가 하는 말이 착하다.


 

44. 군자라 하더라도, 인간인 이상 과실은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그 과실은 일식이나 월식 같은 것이다. 누구에게도 숨기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이것을 보게 된다. 동시에 군자는 곧 그 잘못을 고친다.

     그때에는 일식과 월식이 끝났을 때처럼 그 빛남을 우러러보듯

     군자의 덕을 우러러보게 되는 것이다. 자공(子公)이 한 말. 

 

45. 군자에게는 큰 일을 맡겨야 하는 것이다. 작은 일은 이것저것 맡겨도 어느 것이나

     모두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큰 일을 맡겨서 시킨다면 그 소임을 다할 것이다


 

46. 굳고 여문 물건은 아무리 갈고 닦아도 얇게 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신이 굳고 여물다면 어떤 환경에 처해 있어도 꺾이거나 쓸모 없이 되는 법은 없다.

 

 

47. 그것을 아는 사람은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만은 못하다.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것을 즐기는 사람만은 못하다.

     그것이란 공자의 인도(仁道)를 말하는 것.


 

48. 그 나라가 도덕이 행해지고 있는 나라라면 그 곳에서 녹(祿)을 받고 있는 것은 좋다.

     그러나 도덕이 행해지지 않는 나라에서 녹을 받고 있는 것은 사람으로서 부끄러운 일이다. 

 

49. 그는 유능하면서도 무능한 사람에게 물어 보았다. 자기를 넓히고 깊게 하기 위해서

     그만한 마음가짐과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안자(顔子)를 평한 증자(曾子)의 말. 

 

50. 그림에 있어서는 먼저 밑그림을 잘해야 되고 색채를 입히는 것은 그 뒤에 하는 일이다.

     밑그림을 그리는 것은 눈에 띄지 않는 작업이다. 그러나 단단한 밑그림(素) 없이는

     훌륭한 좋은 그림은 그릴 수가 없다. 

     몸을 장식하는 것보다는 먼저 수양에 힘써서 마음의 진실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명언 3  (0) 2015.05.15
논어 명언 2  (0) 2015.05.15
샘에게 보내는 편지 (다니엘 고틀립)  (0) 2014.11.23
道 德 經 5 章  (0) 2010.08.04
故 事 成 語 (四字成語)  (0) 2010.02.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