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

듀안 마이클 (Duane Michals)

by 嘉 山 2021. 8. 16.

 

1932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매키즈포트(McKeesport)에서 태어났다. 1953년 덴버대학교를 졸업하고, 1956년 파슨스디자인학교에서 디자인 공부를 하였다. 1957년 『댄스 Dance』지의 아트디렉터 조수로 첫 직장을 얻었으며, 1958년 『타임 Time』지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이 시기에 그는 러시아 여행 중에 기념사진을 찍은 것이 계기가 되어 디자인에서 사진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사진가로서의 새로운 삶은 1960년 『쇼 Show』지의 전속 사진가로 입사하면서 시작되었다. 1963년 뉴욕 지하화랑(Underground Gallery)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으며, 1966년 조지 이스트먼 하우스가 개최한 '사회적 풍경을 향해서'라는 기획전에 초대되었다. 이 사진전은 그를 포함하여 브루스 데이비슨(Bruce Davidson), 리 프리들랜더(Lee Friedlander), 개리 위노그랜드(Garry Winogrand), 대니 라이온(Danny Lyon) 등 미국의 대표적인 사진가 5명이 참가하여 현대사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1969년부터 그의 전형적인 사진 형식인 연속사진(Sequence Photo)을 찍기 시작하였다. 연속사진이란 카메라의 각도나 거리, 방향은 고정시켜 놓고 시간의 흐름(변화)만 연속적으로 포착하여 찍은 사진을 말한다. 마치 영화의 한 장면을 스틸 컷으로 옮겨 놓은 것 같은 그의 사진은 기존의 사진이 보여주지 못했던 인간의 내면과 꿈, 기억, 욕망, 성, 정치 등 신비하고 불가사의한 비밀의 세계를 담아내었다.

마이클은 "지금까지 사진가들이 모두 외적 대상에 대한 관찰자나 기록자들이었지만 나는 내 자신 안에 내재하고 있는 것을 심화시켜 시각적으로 영상화하겠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그는 시나리오에 의한 철저히 연출된 사진을 찍었으며 다중노출, 몽타주, 의도적 흔들림 등을 통해 사진이 가진 표현의 한계를 과감히 뛰어넘어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진 위에 글을 써서 사진의 내용을 보완하고 의미를 보다 강하게 전달하였다.

주요 작품에는 《우연한 만남 Chance Meeting》(1970), 《사후 영혼의 여행 The Journey of The Spirit After Death》(1970), 《사물은 기묘하다 Things Are Queer》(1973), 《약을 한 알 먹고 후지산을 보십시오 Take One and See Mt. Fujiyama》(1975), 《할아버지의 죽음 Grandpa Goes go Heaven》(1989) 등이 있다.

 

  

1932년 미국 펜실베니아주 태생
1953년 덴버대학에서 예술 학사학위 수여 받음
1956년 뉴욕의 파슨즈 디자인 스쿨에서 디자인 공부
1957년 『Dance』지의 아트디랙터의 조수로 활동
1958년 『Time』지의 그래픽 디자이너로 입사
1960년 『Show』지의 전속사진가로 입사
1963년 뉴욕 지하화랑에서 첫 개인전 시작됨
1966년 조지 이스트먼 하우스가 개최한 『사회적 풍경을 향해서』사진전 참가
1969년 연속사진(Sequence Photo)의 시작
1979년 사진과 회화를 결합시킨 최초의 작품을 선보임
1980년 정치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보이기 시작함.

 

그는 연작사진을 발표하여 시간의 흐름이란 개념을 도입한 최초의 사진작가이다.

 

사진가로서의 마이클은 초기에 "쇼(Show)"지의 전속 사진가로 입사로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유명한 사람들을 상대로 인물사진을 찍었다.

1958년 르네 마그리트 (Rene Magritte , 화가, 초현실주의의 거장,  1898 - 1967) 의 영향을 받아 초현실주의 요소가 가득한 사진집을 출판했다.

마이클은 1963년에 첫 개인적을 열었으며 당시 소재로 미용실, 지하철역, 극장 대합실 같이 사람들이 많은 장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실상으로 내부는 비여있는 상태를 표현하였다. 

 

 

사진작가로서 주목받게 된 배경


5인이 참여한 『사회적 풍경을 향해서』전시회는 1960년대의 새로운 사진계 판도를 집약적으로 정리하려는 기획전으로써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걸친 현대사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는데의의가 있다.

이 전시회를 통해서 듀안 마이클은 가장 스포트라이터를 받게 되었는데  이는 듀안 마이클의 표현방식이매우 특이했으며 그의 사진 속에 내재된 소재나 주제 면에서 추상적인 것을 추구했다는 데에 관람자로 여금 깊은 인상으로 주었기 때문이다.

 

 

 

 

 

 

-----------------------------------------------------------

 

 

 

 Death comes to the old lad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 story about a story

 

 

 

 

 

그는 천천히 사진 밑에다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이 사진이 보증한다. 분명히. 우리의 좋은 관계가 있고, 그녀가 나를 안고 있고, 우리가 너무도 행복해 보이고, 무엇보다도 우리를 감싸던 오후의 햇살이 있다. 그런 일이 분명 있었으며, 그녀가 분명 나를 사랑했었다. 이 사진은 그때의 우리를 보증한다."

마이클은 펜을 놓았다. 그런데 그녀는 어디에 있을까. 우리는 무엇 때문에 헤어졌을까. 헤어진 이유는. 정말 그랬을까. 과연 우리는 사랑했을까. 우리가 그때 진정 행복했을까. 정말 좋은 관계였다면 왜 그날 헤어졌을까. 이 사진은 우리의 무엇을 보증한다는 말인가. 사진이 보증하는 것은 1974년 5월 8일 이었다는 사실뿐이다. 아무 것도 보증하지 못한다. 우리는 사랑도, 행복도, 좋은 관계도 보증하지 못한다. 이 사진 속의 모든 이미지는 진실과 거리가 너무도 먼 것이다. (후략)...          

- 진동선「듀안마이클, 나는 욕망을 꿈꾸고 싶다」中에서 


 


-----------------------------------------------------------------

 

  

Portrait Flowers


 

 

 

 

    

 

여인이 잠든 방 안으로 날개단 천사가 들어온다.
여인의 잠든 모습을 지켜보던 천사는 슬며시 그녀에게 다가가고
잠에서 깨어난 여인과 천사는 입맞춤을 나누고 섹스를 한다.
섹스를 한 뒤의 천사는 더 이상 천사가 아닌 남자가 되었고,
그의 몸에서 날개가 떨어져 나간다.
날개 잃은 천사는 괴로워하다가 인간의 옷을 입고 방에서 뛰쳐 나간다.
여인은 잠든 채 그대로 누워있다.

   

Shiva's Cosmic Soap Bubbles

  


 

 

Who am I?

 

 


 

duane body

 

 

 

 

역광으로 일그러져보이는 듀안 마이켈스의 실루엣

    

Primavera

   


 

The Human Condition

 


 

whitman

 


 

I Build a Pyramid

 

 

--------------------------------------------------  

"우연한 만남"(chance meeting)


박홍수기자(ghdtn@lycos.co.kr)
출처 : http://www.zoomin.co.kr/webzine/zn_webzine_view.asp?nSeq=1283

 

진실을 찍는다는 것은 아무 것도 찍지 않는 것이다.

1966년 리 프리들랜드, 개리 위노그랜드등 <사회적 풍경을 향해서>라는 5인 전이 기획됐었다. 이는 현대사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전시에서 특이한 형식과 초현실적 내용으로 단연 눈길을 끈 사진가가 있었는데 현대사진에서 독특한 영역으로 자기의 작품세계를 개척한 듀안 마이클 이다.

듀안 마이클 은 연속사진가라고 할만큼 연속사진 분야에 대해서는 선구자이자 중심인물이다.

 

그의 연속 사진은 카메라의 각도나 거리 또는 방향을 고정시켜 놓고, 시간의 흐름만을 순수하게 부각시키려 장면을 연속적으로 포착하여 행동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진은 자신의 내면에 감추어져 심화된 그 무언가를 영상의 언어로 표현하고자 노력했는데 그가 나타내고자 하는 부분은 너무나도 강하고 독특하였기 때문에 낱장사진 속에 포함하기 어려워 연속사진의 형식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실험정신을 바탕으로 이전에 관행처럼 여겨졌던 낱장사진에서 탈피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많은 마이클 의 시리즈 이미지는 잠재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고 사진가의 상상 속에서 진행되고 있는 실제 사건에 기초한다. 1970년 발표한 여섯 장의 컷트로 이루어진 "우연한 만남"(chance meeting)도 이러한 시리즈 중의 하나이다.

"나는 거리에서 스쳐 지나가는 누군가의 생각을 좋아하고 당신이 그들을 알고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두 사람이 서로 스쳐 지나가는 인지의 순간의 경우가 있을 때 조금 후 돌아보고 다시 접촉한다 그러나 이런 만남은 아주 늦게 일어난다."

그는 이 시리즈를 유발시킨 소재를 회상한다.
"내가 브로드웨이를 걷고 있을 때 그 남자가 옆을 스쳐 지나갔다. 그와 나는 '내가 왜 저 사람을 알고 있을까?' 하고 생각했다.

나는 한 블록을 지나서야 그가 누구인지 깨달았다. 그는 나의 군대 동료였다. 내가 돌아봤지만, 그는 지나가 버렸다. 나는 모든 것을 이러한 관찰에 기초를 둔다."

그의 연속사진에서 부각시키고 있는 시간은 순간적인 시간이다. 짧은 한순간에 나타난 시간보다는 이것을 초월적인 차원에서 포괄하고있는 대전제로서의 영원이라는 시간이 더욱 암시적으로 부각되어 있다. 즉 현실적인 한순간이 전체로서의 시간과 합류하여 영원성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사진세계에서 연속사진이외에도 주목되는 부분이 일상적인 공간 안에서의 초현실주의적 사건 중심의 표현방식이라 할 수 있다. 마이클이 사진을 촬영한 공간은 일상적인 평범한 생활 공간 안에서 평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진을 연출시켰지만 사진에서 표현되어지는 모습은 이와는 정반대로 기상천외한 사건을 보여 준다.

그는 꿈, 기적, 죽음, 초능력 등과 같이 소재를 선택하여 한 장면을 연출시킨 사진은 신비하고 불가사의한 비밀의 세계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도 없고, 눈을 통해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신비한 초현실적 세계를 추구한 것이다.

이렇듯 대부분의 사진가들이 사람이나 장소 사물등 그들 주변의 세계를 묘사하는데 관심을 가진 반면 듀안 마이클은 생애를 그의 상상속의 보이지않고 만져지지 않은 세계를 묘사하는데 헌신하였다.

그러한 추구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나의 경우 그것은 내면의 대화였지 외부의 대화가 아니였다. 문제는 나는 누구인가? 그것은 무엇때문에 끝없는 시야에서 이러한 진화론적 여정이 발생하며.. 왜 내가 스스로를 정의 내려야만 했기 때문에 그렇게 흥분해야만 하는가? 이다.

많은 사진가들은 그들이 찍는 사진뿐만 아니라 그들 삶과 감정까지 표면적인 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바라본다.

사진가들은 항상 일관된 상황만 찍는다 그들을 결코 그 상황의 문을 열 생각을 하지 안는다. 일단 당신은 그 상자를 연다면 그것은 상자속에 다른 상자가 들어있어 좀처럼 끝을 볼수 없는 중국의 마술상자 같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 내용물에 흥미를 가지고 있다.

촬영한다는 것이 그렇게 쉽다고 생각한 내가 얼마나 어리석은는지... 나는 나무와 자동차와 사람들이 그자체의 현실로 출현하는데 혼란을 가졌고 이러한 출현의 사진은 그것의 사진이어야 한다고 믿었었다.

하지만 그것은 분명히 실패이다. 나는 거울안에 반영된 다른 반사물을 사진촬영으로 다시 반영하고 있었다. 진실을 찍는다는 것은 아무것도 찍지 않는 것이다."
 

출처: http://blog.naver.com/endjj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 서 진 아 침  (0) 2021.10.28
무 제  (0) 2021.09.30
앙드레 케르테츠  (0) 2021.08.16
연과 빛  (0) 2021.08.03
연의 향연  (0) 2021.07.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