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 글

持 身

by 嘉 山 2009. 4. 30.

 

 

                 지신(持身) :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자.

 

  .

구용(九容), 구사(九思)로부터 시작하여 사물(四勿), 즉 네 가지 해서는 안될 일과 칠호(七好), 즉 일곱 가지 좋아해서는 안될 일 등을 설명.

 

자기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수습하는 데 있어서는 구용(九容)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고, 또 학문을 진보시키고 지혜를 더하는 데 있어서는 구사(九思)보다 더 소중한 것은 없다고 한다.

 

 

                           구용(九容)

 

1. 족용중(足容重) : 발 거동은 무겁게 하고, 가볍게 행동하지 않는다.

                   장자(長者) 앞에서 걸을 적에는 여기에 구애될 수 없다.

 

                 ( 不 輕 擧 也  若 趨 于 尊 長 之 前 則 不 可 拘 此 )


                    

2. 수용공(手容恭) : 손 거동은 공손하게 하며, 손 놀림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일이 없을 때는 마땅히 손을 모으고 망동하지 않는다.

 

                  ( 手 無 慢 弛  無 事 則 當 端 拱  不 妄 動 )

 

3. 목용단(目容端) : 눈 거동은 단정히 하고, 눈동자를 안정시켜

                   마땅히 바르게 보아야 하며 흘겨 보거나 째려 보아서는 아니된다.

                  

                   ( 定 其 眼 睫  視 瞻 當 正  不 可 流 眄 邪 )

 

4. 구용지(口容止) : 입 거동을 그치며,

                   말을 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가 아니면 항시 움직이지 않는다.

 

                   ( 非 言 語 飮 食 之 時 則 口 常 不 動 )

 

5. 성용정(聲容靜) : 소리 거동은 고요히 하고, 마땅히 형기를 가다듬어야 하며

                   구역질을 하거나 트림을 하는 따위의 잡소리를 내어서는 아니된다.

 

                     ( 當 整 攝 形 氣  不 可 出  咳 等 雜 聲 )

 

6. 두용직(頭容直) : 머리 거동을 곧게 하며, 마땅히 머리를 바르게 하고

                  몸을 곧게 해야 하며 기울여 돌리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도 아니된다.

 

                 ( 當 正 頭 直 身  不 可 傾 回 偏 倚 )

 

7. 기용숙(氣容肅) : 기운의 거동은 엄숙히 하고, 마땅히 숨을 고르게 쉬어야 하며,

                   거친 소리가 나게 해서는 아니된다.

 

                 ( 當 調 和 鼻 息  不 可 使 有 聲 氣 )

 

8. 입용덕(立容德) : 서는 거동은 덕 있게 해야 하며,

                   똑바로 서고 않아서 엄연히 덕있는 기상이 있어야 한다.

                   얼굴 거동은 씩씩하게 해야 하는 것들이다.

 

                   ( 中 立 不 倚  儼 然 有 德 之 氣 像 )

 

9. 색용장(色容壯) : 얼굴 빛을 단정히 하여 태만한 기색이 없어야 한다.

 

                   ( 顔 色 整 齊  無 怠 慢 之 氣 )

 

 

 

                            구사(九思)

 

1. 시사명(視思明) : 눈으로 볼 때는 밝고 바르게 보아야겠다고 생각하고,

                   사물을 볼 때 가리운 바가 없으면 밝아서 보이지 않는 것이 없다.

 

                    ( 視 無 所 蔽 則 明 無 不 見 )

 

2. 청사총(聽思聰) : 귀로 들을 때는 그 소리의 참뜻을 밝게 들어야겠다고 생각하며,

                   들을 때 막힌 바가 없으면 총명하여 들리지 않은 것이 없다.

                   

                    ( 聽 無 所 壅 則 聰 無 不 聞 )

 

3. 색사온(色思溫) : 표정을 지을 때는 온화하게 가져야겠다고 생각하고,

                   얼굴 빛을 화하고 부드럽게 하여 골내고 성내는 기색이 없어야 한다.

 

                    ( 容 色 和 舒  無 忿  之 氣 )

                   

 4. 모사공(貌思恭) :몸가짐이나 옷차람은 공손해야겠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태도가 단정하고 씩씩하지 않은 것이 없게 한다.

 

                     ( 一 身 儀 形  無 不 端 莊 )

                

 5. 언사충(言思忠) :말할 때는 참되고 거짓 없이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한 마디를 하더라도 충성되고 신의가 있지 않은 것이 없게 한다.

 

                    ( 一 言 之 發  無 不 忠 信 )

 

6. 사사경(事思敬) : 어른을 섬길 때는 공경스럽게 할 것을 생각하며,

                   한 가지의 일을 하더라도 공경하거나 조심하지 않음이 없어야 한다.

 

                    ( 一 事 之 作  無 不 敬 愼 )

 

7. 의사문(疑思問) : 의심나고 모르는 일이 있을 때는

                   물어서 완전하 알아야겠다고 생각하고,

                   마음 속에 의심이 생기면 반드시 먼저 깨달음이 있는 이에게

                   잘 물어서 모르는 그대로 두어서는 아니된다.

 

                    ( 有 疑 于 心  必 就 先 覺 審 問  不 知 不 措 )

 

8. 분사난(忿思難) : 분하고 화나는 일이 있을 때는 어려움이 있을 것을 생각하고,

                   분이 나면 중계하여 이성으로 스스로 견뎌야 한다.

 

                    ( 有 忿 必 懲  以 理 自 勝 )

 

9. 견득사의(見得思義) : 자신에게 이로운 것을 보았을 때는

                       그것이 의(儀)로운 것인가를 생각한다.

 

                       ( 臨 財 必 明 義 利 之 辨  合 義 然 後 取 之 )

 

常 以 九 容 九 思  存 於 心 而 檢 其 身


위의 구용과 구사를 항상 마음속에 두고 자기 몸을 살피라.


不 可 頃 刻 放 捨  且 書 諸 座 隅  時 時 寓 目


한 시라도 그대로 내버려두지 말고,

자기의 자리 옆에 써 붙여놓고 때때로 이것을 눈여겨 보도록 하여야한다.

 

 


 

사물(四勿)

 

1. 비례물시(非禮勿視) : 예가 아니면 눈으로 보지 말라.

 

2. 비례물청(非禮勿聽) : 예가 아니면 듣지 말라.

 

3. 비례물언(非禮勿言) :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라.

 

4. 비례물동(非禮勿動) :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

 

 

 

칠호(七好) : 극기(克己) 공부로서 일곱 가지 좋아해서는 안 되는 일

 

1. 호색호(好色乎) : 색(色)을 좋아하지 않는가

 

2. 호리호(好利乎) : 이익을 좋아하지 않는가

 

3. 호명예호(好名譽乎) : 명예를 좋아하지 않는가

 

4. 호사환호(好仕宦乎) : 벼슬을 바라지 않는가

 

5. 호안일호(好安逸乎) : 안일한 것을 바라지 않는가

 

6. 호연락호(好宴樂乎) : 잔치하고 노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가

 

7. 호진완호(好珍玩乎) : 진기하고 볼 만한 물건을 갖고 싶어하지 않는가

 

 

 

말 많고 생각 많은 것이 心術에 가장 해롭다. 일이 없으면 조용히 앉아서 마음을 지키고,

남을 접대할 적에는 말을 가려서 간중(簡重)히 하며 말 차례가 되었을 때 말을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말이 간결하지 않을 수 없고 말이 간결한 자는 에 가까워 질 것이다.

 

학문을 하는 사람은 한결같이 에다 마음을 쏟아 外物에 빼앗긴 바가 되어서는 안되며,

외물의 바르지 못한 것은 일체 마음에 유념하지 말아야 한다.

 

피할 수 없거든 비록 자리에 있더라도 몸을 바르게 하고 마음을 맑게 하여

간악한 소리나  음란한 여색이  나에게 범접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잔치를 당하여 술을 마시더라도 만취가 되도록 마시면 아니되며 적당할 때 그만 마시는 것이 좋다.

 

모든 음식은 마땅히 알맞게 먹을 것이요

입맛대로 먹다가 기(己)를 손상하는 일이 있어서는 아니되며, 말과 웃음은 마땅히 간중(簡重)히 할 것이요

시끄럽게 떠들어서 절도에 벗어나서는 아니되며, 행동거지는 마당히 점잖게 할 것이요

경솔하여 그 位義를 잃어서는 아니된다.

일이 있으면 그 이치로 일에 대응하고 글을 읽으면 精誠으로 窮究해야 한다.

 

조용히 앉아서 마음을 거두어 잡아

이 마음이 고요하여 어지럽게 일어나는 생각이 없게 하고

환히 빛나서 혼매한 잘못이 없게 해야 할 것이니,

이른바 '경으로 마음을 곧게 한다〔敬以直內〕'는 것이 이와 같은 것이다.

 

마땅히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여 안팎을 한결같이 해야 한다.

어두운 곳에 거처해서도 밝은 곳에 있듯이 하고, 홀로 있을 적에도 뭇 사람이 있는 곳에 있듯이 하여

내 마음을 마치 푸른 하늘에 밝은 해처럼 사람마다 볼 수 있게 해야 한다.

 

항시 한 가지의 의롭지 못한 일을 하거나 죄 없는 한 사람을 죽여서 천하를 얻을지라도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가슴 속에 간직해야 한다.

 

居敬으로 그 근본을 세우고,  窮理을 밝히고,

力行으로 그 진실을 실천한다는 세 가지는 종신의 사업인 것이다.

 

생각에 사(邪)가 없을 것,  공경하지 않음이 없을 것,

이 두 글귀는 일생 동안 받아들여 사용해도 끝이 없을 것이니,

마땅히 벽 위에 걸어두고 잠시도 잊어서는 아니된다.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꽃은 바로 당신입니다  (0) 2009.05.21
인간심리 25가지 법칙  (0) 2009.05.13
내마음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0) 2009.04.29
유 쾌 한 대 화 법  (0) 2009.04.29
채근담에서  (0) 2009.04.05

댓글